본문 바로가기
머니플러스/머니스토리

퇴직금 세금 공제 비율, 퇴직소득세 계산법, 근속연수별 공제, 누진세율까지 한눈에!

by Captain_KIM 2025. 7. 7.
반응형

퇴직금 수령 시 세금(퇴직소득세)이 얼마나 공제되는지 궁금하신가요?
근속연수별 공제액, 누진세율, 실제 계산 방법까지 최신 기준으로 쉽고 자세하게 안내합니다.
2025년 최신 퇴직소득세 공제 비율을 지금 확인하세요! 😊

1. 퇴직금 세금(퇴직소득세) 기본 구조 🚩

퇴직금을 받을 때는 퇴직소득세가 공제됩니다. 이 세금은 근속연수, 퇴직금 총액, 각종 공제를 반영해 계산되며, 일반 소득세와 달리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.

퇴직소득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1. 퇴직금에서 비과세소득(장해보상금 등) 차감
  • 2. 근속연수별 공제 차감
  • 3. 환산급여 산출
  • 4. 환산급여별 추가 공제 적용
  • 5. 과세표준에 누진세율 적용
  • 6. 근속연수 반영 후 최종 세액 산출
  • 7.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 추가
퇴직금 세금 공제 비율

2. 근속연수별 공제액과 계산 공식 🧮

근속연수 공제는 퇴직금 세금 계산에서 가장 큰 절세 효과를 주는 항목입니다.
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집니다.

근속연수별 퇴직소득 공제액 (2025년 기준)
근속연수 공제액 공식
5년 이하 100만원 × 근속연수
5년 초과 ~ 10년 이하 500만원 + 200만원 × (근속연수-5년)
10년 초과 ~ 20년 이하 1,500만원 + 250만원 × (근속연수-10년)
20년 초과 4,000만원 + 300만원 × (근속연수-20년)

예시: 15년 근속 시
⇒ 1,500만원 + 250만원 × (15-10) = 2,750만원 공제

환산급여별 추가 공제도 적용됩니다.
환산급여란 (퇴직금-근속연수공제)÷근속연수×12로 산출하며, 이 금액에 따라 추가 공제율이 달라집니다.

환산급여 구간별 공제 비율
환산급여 구간 공제 비율
800만원 이하 100%
800만원 초과 ~ 7,000만원 이하 800만원 + (초과분의 60%)
7,000만원 초과 ~ 1억원 이하 4,520만원 + (초과분의 55%)
1억원 초과 ~ 3억원 이하 6,170만원 + (초과분의 45%)
3억원 초과 1억 5,170만원 + (초과분의 35%)

환산급여가 높을수록 공제 비율이 낮아집니다.

3. 퇴직소득세 누진세율 구간 📊

퇴직소득세는 누진세율(6%~45%)이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구간별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
퇴직소득세 과세표준별 누진세율 (2025년)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
1,400만원 이하 6% -
5,000만원 이하 15% 126만원
8,800만원 이하 24% 576만원
1.5억원 이하 35% 1,544만원
3억원 이하 38% 1,994만원
5억원 이하 40% 2,594만원
10억원 이하 42% 3,594만원
10억원 초과 45% 6,594만원

과세표준은 앞 단계에서 공제 후 산출된 금액입니다.
지방소득세는 퇴직소득세의 10%가 추가로 부과됩니다.

4. 실제 퇴직소득세 계산 예시 💡

예시: 30년 근속, 퇴직금 3억원
(실제 계산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)

  1. 근속연수 공제: 4,000만원 + 300만원 × (30-20) = 7,000만원 공제
  2. 과세대상 퇴직금: 3억원 - 7,000만원 = 2억3,000만원
  3. 환산급여: 2억3,000만원 ÷ 30년 × 12 = 9,200만원
  4. 환산급여별 공제: 4,520만원 + (9,200만원-7,000만원)×55% = 4,520만원 + 1,210만원 = 5,730만원
  5. 환산과세표준: 9,200만원 - 5,730만원 = 3,470만원
  6. 누진세율(15%) 적용: 3,470만원 × 15% - 126만원 = 395만원
  7. 최종 산출세액: 395만원 × 30년 ÷ 12 = 986만원
  8. 지방소득세(10%): 98.6만원
  9. 최종 퇴직소득세+지방소득세: 약 1,085만원
퇴직금 세금 계산 예시

5. 퇴직소득세 계산기와 참고 팁 🖥️

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퇴직금 세금 공제액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세청, 시중은행, 퇴직연금 사이트 등에서 무료 제공됩니다.

🧾 퇴직소득세 계산기 바로가기
  • 퇴직금, 근속연수, 입사·퇴사일, 최근 3개월 평균임금 등 입력
  • 자동으로 세금 공제액실수령액 확인 가능
  •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도 자동 산출

6. 결론 및 핵심 요약 🎉

퇴직금 세금 공제 비율, 핵심만 정리!

  •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별 공제환산급여 공제가 매우 큽니다.
  • 누진세율(6~45%)이 적용되지만, 실질 세부담은 일반 소득세보다 낮은 편입니다.
  •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.
  • 정확한 세금은 퇴직소득세 계산기로 확인하세요!
🔥 퇴직소득세 계산 바로가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