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퇴직금 수령 시 세금(퇴직소득세)이 얼마나 공제되는지 궁금하신가요?
근속연수별 공제액, 누진세율, 실제 계산 방법까지 최신 기준으로 쉽고 자세하게 안내합니다.
2025년 최신 퇴직소득세 공제 비율을 지금 확인하세요! 😊
목차
1. 퇴직금 세금(퇴직소득세) 기본 구조 🚩
퇴직금을 받을 때는 퇴직소득세가 공제됩니다. 이 세금은 근속연수, 퇴직금 총액, 각종 공제를 반영해 계산되며, 일반 소득세와 달리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.
퇴직소득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1. 퇴직금에서 비과세소득(장해보상금 등) 차감
- 2. 근속연수별 공제 차감
- 3. 환산급여 산출
- 4. 환산급여별 추가 공제 적용
- 5. 과세표준에 누진세율 적용
- 6. 근속연수 반영 후 최종 세액 산출
- 7.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 추가

2. 근속연수별 공제액과 계산 공식 🧮
근속연수 공제는 퇴직금 세금 계산에서 가장 큰 절세 효과를 주는 항목입니다.
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집니다.
근속연수 | 공제액 공식 |
---|---|
5년 이하 | 100만원 × 근속연수 |
5년 초과 ~ 10년 이하 | 500만원 + 200만원 × (근속연수-5년) |
10년 초과 ~ 20년 이하 | 1,500만원 + 250만원 × (근속연수-10년) |
20년 초과 | 4,000만원 + 300만원 × (근속연수-20년) |
예시: 15년 근속 시
⇒ 1,500만원 + 250만원 × (15-10) = 2,750만원 공제
환산급여별 추가 공제도 적용됩니다.
환산급여란 (퇴직금-근속연수공제)÷근속연수×12로 산출하며, 이 금액에 따라 추가 공제율이 달라집니다.
환산급여 구간 | 공제 비율 |
---|---|
800만원 이하 | 100% |
800만원 초과 ~ 7,000만원 이하 | 800만원 + (초과분의 60%) |
7,000만원 초과 ~ 1억원 이하 | 4,520만원 + (초과분의 55%) |
1억원 초과 ~ 3억원 이하 | 6,170만원 + (초과분의 45%) |
3억원 초과 | 1억 5,170만원 + (초과분의 35%) |
환산급여가 높을수록 공제 비율이 낮아집니다.
3. 퇴직소득세 누진세율 구간 📊
퇴직소득세는 누진세율(6%~45%)이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구간별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액 |
---|---|---|
1,400만원 이하 | 6% | - |
5,000만원 이하 | 15% | 126만원 |
8,800만원 이하 | 24% | 576만원 |
1.5억원 이하 | 35% | 1,544만원 |
3억원 이하 | 38% | 1,994만원 |
5억원 이하 | 40% | 2,594만원 |
10억원 이하 | 42% | 3,594만원 |
10억원 초과 | 45% | 6,594만원 |
과세표준은 앞 단계에서 공제 후 산출된 금액입니다.
지방소득세는 퇴직소득세의 10%가 추가로 부과됩니다.
4. 실제 퇴직소득세 계산 예시 💡
예시: 30년 근속, 퇴직금 3억원
(실제 계산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)
- 근속연수 공제: 4,000만원 + 300만원 × (30-20) = 7,000만원 공제
- 과세대상 퇴직금: 3억원 - 7,000만원 = 2억3,000만원
- 환산급여: 2억3,000만원 ÷ 30년 × 12 = 9,200만원
- 환산급여별 공제: 4,520만원 + (9,200만원-7,000만원)×55% = 4,520만원 + 1,210만원 = 5,730만원
- 환산과세표준: 9,200만원 - 5,730만원 = 3,470만원
- 누진세율(15%) 적용: 3,470만원 × 15% - 126만원 = 395만원
- 최종 산출세액: 395만원 × 30년 ÷ 12 = 986만원
- 지방소득세(10%): 98.6만원
- 최종 퇴직소득세+지방소득세: 약 1,085만원

5. 퇴직소득세 계산기와 참고 팁 🖥️
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퇴직금 세금 공제액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세청, 시중은행, 퇴직연금 사이트 등에서 무료 제공됩니다.
- 퇴직금, 근속연수, 입사·퇴사일, 최근 3개월 평균임금 등 입력
- 자동으로 세금 공제액 및 실수령액 확인 가능
-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도 자동 산출
6. 결론 및 핵심 요약 🎉
퇴직금 세금 공제 비율, 핵심만 정리!
-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별 공제와 환산급여 공제가 매우 큽니다.
- 누진세율(6~45%)이 적용되지만, 실질 세부담은 일반 소득세보다 낮은 편입니다.
- 지방소득세(퇴직소득세의 10%)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.
- 정확한 세금은 퇴직소득세 계산기로 확인하세요!
반응형
'머니플러스 > 머니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계형 ISA 3년만에 연금 전환, 연금저축·IRP로 이전하는 방법과 절세 꿀팁, 주의사항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7.08 |
---|---|
2025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일정과 전망, 금리인하 흐름, 하반기 금리전망, 대출·부동산 영향까지 총정리! (1) | 2025.07.08 |
연 12% 금리 적금특판 총정리와 가입조건, 우대금리, 인기상품 비교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7.06 |
청년 내일채움공제와 청년 미래적금 비교, 가입조건, 혜택, 만기금액, 추천대상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7.05 |
부산 청년 기쁨 두 배 통장 신청방법, 조건, 혜택, 만기수령액 한눈에! (1) | 2025.07.04 |